Serio

커뮤니티 운영론 (5)

사회과학/인터넷
황제(黃帝) 때, 대외(大隗)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나라를 다스리는 능력이 뛰어났다. 황제는 그가 재주있다는 말을 듣고, 방명(方明), 창우(昌寓), 장약(張若)등 여섯 명을 데리고 그를 찾아나섰다. 구자산(具茨山)의 한 산골짜기에서 일곱 사람은 길을 잃었다. 마침 곁에 목동이 한명 보여서 그에게 구자산으로 가는 길을 아느냐고 물어보았다.

목동은 "압니다"라고 대답했다. 다시 그에게 대외라는 사람을 아느냐고 물으니, 목동은 역시 "압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구자산과 대외에 관해서 일곱 명에게 상세히 얘기해 주었다. 황제는 이 목동이 나이는 어리지만 말에 조리가 있어 보통내기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에게 이렇게 물었다: "너는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를 아는가?" 그러자 목동이 대답했다. "천하를 다스리는 것도 내가 말을 키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해로운 말을 없애면 됩니다."

『太平寰宇記』
-------------------------------------------------------------------------------------------------------------------

어떤 조직에서든 거의 모두 곤란한 인물이 하나 이상은 끼어있기 마련이다. 그들의 존재목적은 마치 일을 그르치기 위해서 있는 듯하다. 운영진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기실 최고운영자가 그 지닌바 권한을 충분히 행사하여 올바르지 못한 자를 끌어내고 그렇지 않은 자를 중용한다 해도 이러한 자들이 하나 이상 들어오지 않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이들은 굳이 말하자면 업무의 파괴자이며 조직의 적이다. 이러한 파괴자의 능력이 비범한 이유는 파괴가 그 반대보다 쉽다는데 있다. 장인이 긴 시간을 들여 만든 명품 도자기도 당나귀 한마리가 한번에 부술 수 있다. 만일 조직안에 이런 못된 당나귀가 하나라도 있으면, 아무리 뛰어난 장인들이 많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다지 좋은 성과를 보일 거라 기대하긴 어렵다.

구정물에 술을 한 컵 부으면 여전히 구정물이다. 그러나 술에 구정물을 한 컵 부으면 술은 구정물이 된다. 당나귀와 장인의 관계도 이와 같다. 최고운영자가 당나귀에게 제약을 가하느냐의 여부는 조직의 업적과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일 커뮤니티에 당나귀가 있다면, 운영진은 마땅히 그 당나귀를 제거해야 한다. 만일 여러가지 이유로 이렇게 할 수 없다면, 적어도 묶어두어야 한다.

당나귀들이 무서운 이유는 단순히 업무의 파괴에 그치지 않는다. 도자기가 부숴져도 다시 구워내면 그만이다. 그러나 당나귀가 계속하여 도자기들을 파괴하고 일을 방해한다면 장인들이 계속하여 열과 성을 다해 일을 하리라 기대해선 안되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조직 자체의 와해로 향한다. 일이 이 지경에 이르면 무엇으로도 돌이킬 수 없다. 이를 거스르려 할 때 최고운영자는 조직 전체가 자신의 통제를 벗어났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처럼 그 해악이 지대함에도 만약 당나귀를 제거할 수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필자는 현재까지 주로 권한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러나 커뮤니티가 항상 권한으로만 돌아가는것은 아니다. 지닌 권한의 적절한 행사법, 그것이 정당하게 돌아가도록 하는 도덕성과 인간에 대한 이해, 그리고 나아가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미묘한 상호작용, 마지막으로 운영자 본인의 신념이나 최소한의 책임감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가 이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가급적 권한에 대해서만 논한 이유는 이러한 품성은 뛰어난 안목과 깊은 경험을 전제치 않고서는 성립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필자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사람은 어떻게 하는게 보다 옳은지에 대해 쉽게 판단내리지 못하며 그에 대해 깊게 생각치 못하고 처리하기 마련이다. 이제 권한 외의 부분에 대해서 잠시 생각해보자.

어떠한 조직이 마련되어 충분히 돌아가려면 그 권한이 정해져야 함은 마땅하다. 많은 사람을 하나의 목표에 매진하게 하는 방법의 하나는 명분이고 다른 하나는 권한이다. 훌륭한 명분은 다수의 사람에게 정신적 지주로서 작용하여 자신들의 행동에 정당함과 자부심을 심어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열정을 최대의 효율로 뽑아내는데에 함께 필요한게 조직화된 권한이다.

그러나 운영자가 아무리 법규에 따라 훌륭한 운영을 하고, 권한을 통하여 일을 하여도 이를 통해 모든 해악을 걸러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해서는 안된다. 간혹 법을 어기진 않으나 없는것이 더 나은 자가 있다. 그들은 법으로는 잡을 수 없는 해악이다. 법으로 잡을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골치가 아프다.

법규로서 이러한 해악을 잡을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 가장 큰 이유는 다수가 믿는 도덕이 반드시 올바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전에 논한 바와 같이 다수가 믿는 올바름義이 실천되었을 때 항상 모두에게 좋은 방향으로 흐른다고 할 수는 없다. 무엇이 옳은가의 문제는 가장 훌륭한 학자들조차 대답하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사람에게 그런 능력이 있다고 기대하기는 힘든 일이다.

그 두번째 이유는 법규는 보편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혹한 커뮤니티가 선량한 회원에게도 가혹하기 쉽듯이 관대한 커뮤니티는 해악에게도 관대하기 쉽다. 만약 해악을 잡기 위해 회칙과 법제를 보완하면 그것은 마치 농약과도 같아서 해충을 잡는 만큼 작물에도 손상을 입힐 것이다. 이 일이 처리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렇다고 하여서 해악을 방치한다면 해충이 곧 작물을 갉아먹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세번째 이유는 조직이 반드시 권한만으로 돌아가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조직이 상호관계와 신뢰에 기반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이는 양날의 칼이 되어 당나귀의 활동에 도움을 주게 된다. 신뢰를 기반으로 할 수록 상호간의 벽이 낮아지며 활발한 의사소통이 일어나고 이것은 업무의 효율성에 크나큰 도움을 줄 수 있다(만약 이러한 조직에서 일해본 사람이라면 이것이 얼마나 훌륭한 자산인 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열린 소통의 경로로 해악이 들어오면 순식간에 전체가 마비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조직에서 특정자를 쫒아낸다는 것은 다른 모두에게도 영향을 주기 쉬우며 조직의 가장 뛰어난 자산에도 손상을 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충을 줄일 것인가? 해충이 지나치게 들끓어 작물을 얻을 수 없는 지경이라면 모를까 단순히 저러한 해악이 소수 있다고 하여 약을 치지는 않는다. 법제는 보편적이기에 반드시 작물에도 손상이 가는 이유에서이다. 이렇게 작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해충을 잡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그들을 집게로 잡아내는 것이다. 이것이 약으로 처리할 수 없는 해충에 대한 최선의 방법이다.

이제 그 집게는 무엇인가? 그것은 최고운영자 자신이 지닌 권위이자 신뢰이다. 권위는 거부를 거부하며 신뢰는 믿음으로 믿게한다. 최고운영자가 스스로의 그 공정함과 정당함을 행사했으며 직분에 걸맞은 행동을 취해왔다면 사람들이 따르지 않을 수 없다. 비록 법제의 측면에서 애매하다고 해도 회원들은 전례에 따라 운영자를 따를 것이다.

선으로 남을 이끄는 것을 가르침이라 하고 남과 화합하는 것을 유순하다한다. 이에 반해 불선으로 남을 이끄는 것을 타락시킨다 하고 남과 화합하는 것은 아첨이라고 한다. 이 짧은 문장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을 일컬어 유순하다고 할 수 있는지 무엇을 일컬어 아첨한다고 할 수 있는지 판단내리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그것을 안다 해도 타인에게 납득시키기란 더욱 어려운 일이다.